Case 1, Case 2 : 주차시간을 지켜 주차한 경우로,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상황이라 가정한다.
Case 3, Case 4 : 주차시간을 지키지 않은 경우로, 예외 상황이라 가정한다.
→ 일반적인 상황, 예외상황 모두 포함하여 version 2
가 예약차량 입차 안정성과 주차장 운영 효율성 모두 가장 높은 수치를 갖는다.
→ 예외상황에서 version 1
, version 1-1
은 예약차량 입차가 가능한 상황에서 version 2
는 입차 안정성을 갖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한다.
상황 설정
테스트 결과
version 0
의 경우, 1번•3번은 14:00 ~ 15:00, 2번•4번은 15:00 ~ 16:00 각각 동일한 시간으로 예약을 진행했으나, 3번•4번 예약만 성공하였다.
→ 예약하려는 시간과 상관없이, 예약을 시도하는 시점에서 주차장의 빈자리를 기준으로 예약 가능 여부가 정해지므로 예약처리 일관성이 보장되지 않는다.
version 1
, version 1-1
, version 2
의 경우, 예약을 시도하는 시점과 상관없이 예약 프로세스가 일관성 있게 처리된다.
<aside> ☑️ 공통 상황 설정 및 지표 기준
*예약 성공율
, 일반차량 입차 성공율
은 주차장 운영 효율성을 측정하기 위함으로, 주차장에 빈자리가 없어서 예약•입차하지 못한 상황은 성공율 계산에서 제외한다.*
</aside>
상황 설정
테스트 결과
version 1
, version 1-1
, version 2
모두 예약차량 입차 안정성이 확보되었다.version 2
> version 1-1
> version 1
순으로 주차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한다.상황 설정
테스트 결과
version 1
, version 1-1
, version 2
모두 예약차량 입차 안정성이 확보되었다.version 1
, version 1-1
은 한정된 예약구역을 갖고 있으므로, 예약차량이 많은 경우 주차장에 자리가 있어도 예약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. 반면, version 2
는 예약과 일반차량 입차 모두 빈자리가 있으면 가능하므로 주차장 운영 효율성이 높다.